반응형
 

유튜브 채널 수익화?…최근 많이 보이는 채널 트렌드 3가지와 초기 세팅 방법.

유튜브는 여전히 사람들이 ‘수익’을 위해 도전하는 공간이다. 한 달에 몇만 조회수가 나와서 몇 만원만 돈을 벌더라도, 또 몇 백만, 몇 천만 수익을 올리는 이들이 있기에 여전히 사람들은 다

www.neocross.net

 

 

지난해부터 유튜브 쇼츠 수익화가 가능해지면서, 롱폼보다는 쇼츠에 더 공을 들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여기에 예능이나 드라마를 짜깁기해서 올리는 저작권 위반 게시물도 적지 않지만, 자신의 영상물을 홍보하면서 동시에 수익을 올리기 위해 쇼츠를 운영하는 이들도 있다그런데 여기서도 롱퐁 게시물과 비슷한 질문들을 많이 하게 된다. “조회수가 나오지 않아서 쇼츠 게시물을 삭제하고 다시 다시 업로드하면 조회수가 오를까요?” “쇼츠 게시물 재업로드시 채널에 불이익을 없을까요?” 등 재업로드에 관한 내용이다.

 

유튜브 쇼츠

 

이 부분에 대해 많은 사람이 의견을 내놓는다. 속칭 전문가란 사람들끼리도 다른 말을 한다. 그래서 이에 관련한 영상과 블로그 글을 찾아보고, 크게 3가지로 정리했다. 여기에 나름 2가지 실험을 해봤는데, 이에 대한 간략한 결과도 올려놓는다. (참고로 유튜브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누구나 100% 자신해서 말하지 못한다. 만약 이를 100% 파악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전 세계 돈은 그가 다 긁어갈 것이다.)

 

1. 절대 삭제하지 마라.

 

대다수 전문가가 하는 이야기다. 그 이유로 드는 것이 우선 유튜브 알고리즘이 스팸 계정으로 오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올린 영상을 삭제하고, 다시 올리고 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 유튜브 시스템에서는 스팸으로 간주되어 채널이 정지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현재 해외 유튜브 시장에서는 명의도용, 스팸, 딥페이크 등에 대해서 범죄로 인식하고 심각하게 보고 있다. 그런데 게시물의 재업로드를 반복하는 행위는 여기에서 스팸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자칫 채널의 SEO가 망가질 수 있다. SEO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들에게는 친숙한 단어다. ‘검색 최적화’, 유튜브 게시물이나 쇼츠 게시물도 구글 및 구글 생태계의 다른 서비스에도 제공되며, 그러기에 당연히 검색되어 나온다. 그러기에 자칫 검색 최적화 단계에서 재업로드 행위는 SEO를 망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여기에 반박도 있다. 재업로드가 유튜브 시스템에서 스팸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검색 최적화와는 무관하다는 의견)

 

2. 절대로 삭제하지 말란 말은 아냐

 

여기서 나름 전문가들은 또 여지를 둔다. “롱퐁이든 쇼츠든 영상 공개 후 문제가 있어도 삭제하지 말라는 것인가”. “이후 해당 영상은 업로드하지 못한다는 말인가라는 말에 전문가들은 아니다라고 답한다. 알쏭달쏭하지만, 이들은 이런 주장을 한다.

 

채널 성향에 맞지 않는 일부 콘텐츠의 경우에는 삭제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말이다. 뭔 소리인가. 그런데 자세히 보면 길게 봐서 채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콘텐츠는 차라리 삭제하거나 재업로드하는 것이 낫다는 말이다. 즉 단기적은 클릭수를 위해 삭제 후 재업로드는 채널이나 검색최적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채널 성향 등을 고려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삭제해도 나쁘지 않다는 말이다. (유튜브 알고리즘 어렵다) 그러면서 콘텐츠당 딱 한번씩 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는 말도 건네는 전문가도 있다.

 

3. 삭제 후 재업로드시 유의 사항.

 

롱폼이든 쇼츠든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지 못해 몇 시간이 지났는데, 100이하의 클릭수가 나오면 조바심이 난다. 그래서 진짜 업로드를 하고 싶으면 나름 꼼수가 있긴 하다. 내용을 조금 다르게 편집하고, 품질을 아예 바꿔서 다시 저장 후 올려야 한다. 즉 유튜브 알고리즘이 새로운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만든다는 것이다.

 

4. 재업로드 실험과 시간 두고 지켜보기.

 

유튜브 영상 2개를 재업로드 해봤다. 방식은 2가지.

 

하나는 3시간 동안 조회수 200정도 밖에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삭제 후 바로 재업로드를 해봤다. 하루 정도 놔두고 지켜봤더니 1천 정도 나왔다. 즉 별반 차이가 없다. 그렇다고 채널이 전체적으로 훅 가라앉거나, 다른 콘텐츠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업로드한 영상이 알고리즘에 급격하게 잡히거나 하지는 않았다.

 

 

저품질 블로그 탈출 방법? (+네이버 공식 입장은?)

블로그를 운영한 지 꽤 오래되고, 유입량이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종종 주변에서 저품질 블로그 이야기를 듣는다. 광고성 포스팅을 하면 저품질이 된다느니, 기사나 다른 사람

www.neocross.net

 

 

다른 하나는 역시 조회수가 나오지 않아서 삭제 후, 다른 콘텐츠를 업로드 후 하루 정도 지나서 해당 콘텐츠를 재업로드 해봤다. (300 1). 따로 다시 편집을 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알고리즘에 빨리 잡혔다. 채널에서 새로운 영상으로 인식을 한 것인지는 몰라도, 다른 콘텐츠와 마찬가지의 속도로 올라갔다. 채널에는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알고리즘에 잡히지 않은 콘텐츠를 그냥 놔두고 지켜봤다. 애초 1천 정도 클릭수가 나오던 쇼츠 콘텐츠가 48시간안에 40만을 넘겼다. 뒤늦게 알고리즘에 잡혔고, 좋아요와 댓글로 인해 제대로 알고리즘에 정착했다.

 

5. 나름의 결론.

 

일단 롱폼이든 쇼츠든 콘텐츠 삭제 후 재업로드가 채널이나 콘텐츠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은 존중한다. 실제 많은 실험이 진행되기도 했으니 말이다. 그러나 유튜브 알고리즘에 정답은 없는 듯 싶다. 저작권이나, 스팸, 딥페이크 등의 위법 문제가 아니라면, 몇몇 콘텐츠를 삭제 후 재업로드한다고 개인 채널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고, 유튜브 알고리즘이 그렇게까지 세세하게 접근하지는 않는 듯 싶다.

 

단지, 내용 조정과 품질 변화 등 미세한 조정과 기간의 변화 등 나름의 방식을 실험해서 터득해야할 듯 싶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유튜브는 여전히 사람들이 수익을 위해 도전하는 공간이다. 한 달에 몇만 조회수가 나와서 몇 만원만 돈을 벌더라도, 또 몇 백만, 몇 천만 수익을 올리는 이들이 있기에 여전히 사람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만든다.

 

최근에는 쇼츠 중심으로 굴러가긴 한다. 그러다보니, 쇼츠만 전문적으로 올리는데, 여기는 크게 3가지 형태가 보인다.

 

 

블로그 포스팅을 위한 황금 키워드, 이런 것인가?…키워드 찾는 기본 방법.

‘황금 키워드’. 블로그에서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수익을 얻고자 하는 이들이 늘 찾는 내용이다. 그래도 혹 모르는 이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황금 키워드는 말 그대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 키

www.neocross.net

 

생성형 AI로 만든 이미지

 

첫 번째는 자신이 유튜브 영상을 만들고, 이를 다시 쇼츠로 만드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쇼츠 수익뿐 아니라, 쇼츠를 통해 유튜브 영상을 연결해 홍보하려는 목적도 있다. 즉 유입을 위한 것이다.

 

두 번째는 아예 쇼츠용 영상을 촬영해 올리는 경우다. 이들은 긴 스타일의 영상을 제작하지 않는다. 쇼츠로만 승부를 본다. 이들 대부분은 영상을 멍하니 틀어놓고 있어도 되는 형태다. 귀에 쏙쏙 들어가는 BGM과 간단한 동작 등으로 이뤄지는 경우도 많다.

 

세 번째는 사실상 저작권 도둑질이다. 드라마나 영화, 예능 혹은 다른 유튜브 쇼츠나 인스타그램 릴스 영상들을 무단으로 가져와 그럴 듯 하게 후킹 문구를 넣고, 제목을 달아 올린다. 빠른 시간 안에 클릭 혹은 터치 몇 번으로 영상을 만들어 올릴 수 있지만, 추후 저작권 문제에 걸릴 수 있다. 최근 기하급수적으로 많이 늘어나는 유튜브 채널이다.

 

간혹 쇼츠나 릴스에 유튜브 영상 떡상하는 방법” “유튜브 영상 하나로 100만 뷰 만들기등의 제목으로 시선을 끄는 영상들이 있는데, 실상 크게 도움은 안된다.

 

유튜브 알고리즘에 관해서는 많은 사람이 이러쿵저렁쿵 이야기하지만, 100% 맞는 내용들은 없다. 다들 자신들의 경험에 타인의 경험을 실험하면서 알고리즘에 적합한 내용을 조금씩 찾아내려고 하는 것이고, 그 안에서 우연이든 실제 알고리즘에 맞는 것이든 진행되는 것이다.

 

 

티스토리 정치‧사회 이슈 포스팅으로 구글 애드센스 예상 수입을 어느 정도일까.

티스토리를 운영하고 애드센스를 단 지 꽤 오래됐다. 하지만 사실상 애드센스는 방치(?)에 가깝게 놔두었던지라 수익에 대해 따로 체크를 하거나 살펴보지 않았다. 그런데 문득 궁금해 졌다. 주

www.neocross.net

 

 

그래도 가장 기본은 목표를 확실히 해야 한다. 내 것을 만들어 올리든 다른 영상을 훔치든 일단 콘텐츠의 성향과 방향이 확실해야 한다. 드라마 내용 짜깁기 하는 쇼츠 채널이라도 드라마를 다시 보다등의 제목을 유지한다.

 

속칭 유튜츠 채널을 초반에 세팅을 잘해야 한다고 한다. 인스타그램 릴스도 마찬가지다. 이 셋팅에 기본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이 있다.

 

구글 계정이 활성화되어 있을 것. (즉 사용하는 계정, 특히 오래 사용한 계정)

 

1. 채널이 관련 알고리즘에 들어가 있을 것. 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내가 검색할 때 혹은 구독도 안했는데, 내 채널과 유사한 내용들이 자주 보여야 한다. 인스타의 경우에는 릴스 올리기 전에 좋아요, 댓글, 저장 등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한데, 유튜브 쇼츠 채널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보이긴 한다. 물론 이 작업을 했다고 100% 관련 알고리즘에 편입되는 것은 아니다.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지.

 

2. 영상과 관련된 기본 태그값을 찾아라. 태그는 사람들의 관심사와 연결시키는 작업이다. 즉 내 영상에 내 이름 넣어봐야 아무도 안본다는 것이다. 간혹 영상과 관련된 태그만 주구장창 넣는데,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 영상과 관련은 있되, 사람들이 관심있어 하는 태그를 찾아서 영상을 올릴 때마다 그 태그값은 기본으로 올라가게 만들어야 한다.

 

 

CPC 유료 강의‧수익형 블로그…‘20년째’ 취미형 블로거는 놀랄 뿐.

블로그(BLOG)를 처음 접한 것이 2001년이었다. 다음(DAUM) 블로그였다. 기본적으로 글을 쓰는 것을 좋아했고 소통하는 것을 좋아해서 글을 올렸고, 지금 어느 정도 쌓였다. 다음은 블로그 글을 종종

www.neocross.net

 

 

3. 영상은 무조건 고화질로 올려라. 이건 유튜브든 쇼츠든, 릴스든 마찬가지다. 고화질로 올려야 로봇들이 가져다 보여준다. 이 부분은 모두가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내용이다.

 

우선 이 정도만 세팅해 놓고 준비해 놓은 콘텐츠를 올려야 한다. 그것도 꾸준하게 말이다. 블로그도 마찬가지지만, 유튜브 채널도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죽은 채널이다. 특히 채널 운영 초반에는 일정 정도 업로드 시간을 고정적으로 맞춰놓는 것도 좋다.

 

물론 이런다고 모든 세팅이 100% 완벽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혹 유튜브 채널을 어떻게 초반에 구성해야 할지 모른다면 조금이라도 참고가 되길 바란다. 저 내용을 기본으로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더해 조금씩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다. (여기에 올려야 하는 시간, 블로그 틱톡 등 외부 연결 등은 추후 따로)

 

혹 다른 방법이나 테스트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적으면 같이 테스트를 해볼 수 있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