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유 유통기한 후 섭취를 왜 아직도?…유통기한? 소비기한? (+품목별 먹을 수 있는 최대기한)

복합 우루사 vs 우루사정, 간 기능 저하일 때? 피로할 때? 언제 먹을까.우루사 관련해서 앞서 두 번 정도 포스팅을 했다. 하나는 우루사 100mg의 가격 인상에 분노를, 하나는 코로나19에 효과가 있다

www.neocross.net

 

 

KTX 충전 자리는 KTX 혹은 KTX-산천을 이용할 때마다 찾게 된다. 스마트폰이 노트북, 태플릿PC 사용이 일상화된 상황에서 보조배터리 대신 안정적 충전을 원하기 때문이다. 나름 자료가 많이 있음에도 이렇게 다시 정리하는 이유는 ‘충전기 자리’만 믿다가는 애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내가 자주 까먹어서 정리하는 것이다)
 

ktx 충전기 자리. 연합뉴스
연합뉴스

 

1. KTX, KTX-산천 충전기 자리는 어디일까.

 
- 일반 KTX는 벽에 콘센트가 있어, 창가 사이 좌석에만 콘센트가 있다. 그런데 코레일톡 어플에 들어가서 보면 뭔가 애매하다. 창가 사이 좌석 사이에 띄어져 있는데 어떻게 잡아야 할지 감이 안 잡힐 때가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다시 검색을 하는 것이다.
 
이럴 때는 그냥 열을 메모를 (혹은 나처럼 블로그 기록) 해놨다가 바로 찾는 방법을 택해보자.
 
 
일반실 3, 5, 7, 10, 12, 14, 15 라인
 
특실 2, 4, 6, 8, 10, 12 라인
 
번호는 창가 쪽이니 당연히 A 혹은 D
 
- KTX-산천은 앞 좌석 하단 부분에 콘센트가 있고, SRT는 전 좌석 하단 부분에 콘센트가 있다.
 
KTX 콘센트 자리는 이렇게 정리하면 끝난다.

2. 콘센트 자리? 방심은 금물.

 
이게 뭔 소리일까. 콘센트 자리에 앉았으면 됐지, 뭔 문제가 있을까. 살짝 애매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 KTX는 USB-A타입의 포토 2개와 220V 콘센트 하나가 벽면에 제공된다. 앞뒤 사람의 요청이 없다면 해당 좌석의 콘센트는 온전히 그 좌석 주인의 몫이다.
 
그런데 KTX-산천의 경우에는 좌석의 앞쪽과 밑쪽 하단에 220V 콘센트가 하나만 제공되는 자리가 있고, 일반 KTX처럼 USB-A타입의 포토 2개와 220V 콘센트 하나가 제공되는 차량이 있다. (이거 진짜 잘 알아봐야 한다)
 
전자의 차량을 타게 되면 온전히 내가 차지할 수 없고, 옆의 사람과 일정 부분 타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원래 하단에 일반 KTX와 동일하게 만든다고 했는데, 아직....) 그래서 KTX-산천을 탈 때면 항상 3개 이상의 USB 포토 3개를 넣을 수 있는 충전기를 가지고 다닌다. 
 
여기서 하나 추가. KTX-청룡은 220V 콘센트와 무선충전기, USB 포트도 좌석마다 설치됐다.
 
그리고 하나 더 추가. KTX 산천 이용시 VR로 자리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진) 이용해 보니 편함.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추석, 설 등 명절 기차표 구하기는 고향 가는 사람들에게는 언제나 과제. 명절 연휴에 취소표로 인한 공석으로 운행한 KTX 좌석이 20만 석에 달한다고 한다. SRT5만 석이 넘게 공석으로 운영된다. 이 때문에 취소 수수료를 올린다니, 괜한 피해자들만 나올 듯 싶다.

 

 

추석‧설 명절 차례 + 제사 지방 쓰는 쉬운 방법 (+강조 사항)

추석이나 설 명절이 되면 지방 쓰는 방법에 대해 사람들이 많이 찾아본다. 과거 제사가 많았던 시대와 달리 명절 때 어쩌다 쓰다 보니, 그때그때 찾아보는 것 같다. 이제 쉽게 쓰는 방법을 한번

www.neocross.net

 

코레일 ktx

 

피해를 입더라도 고향으로 갈 사람은 가야 한다. 이 때문에 좌석을 구할 수 있는 4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1. 중간역 이용.

 

예매 창에서 입석+좌석 예매 대기상태일 경우, ‘중간연결역 변경에서 좌석연결석검색 후 좌석+좌석을 선택하면 중간에 내리는 자리를 찾을 수 있다. 출발은 입석이지만, 중간부터는 내 자리에 앉아 도착역까지 가는 시스템이다.

 

2. 구간별 분할 예매

 

출발지에서 가까운 역까지 우선 예매한다. 승차 후 승차 후, 승무원에게 최종 목적지까지 구간 변경을 요청한다. 동시에 최종 목적지 근처 역에서 출발하는 좌석표를 추가로 예매한다. 이 방법을 통해 일부 구간은 좌석에 앉아 이동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해당 구간의 도착역에 도착하기 전에 완료해야 한다. 도착 후 구간 변경을 요청하면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다. 또 구간 분할 예매 시 객실을 이동해야 할 수 있다.

 

반응형

ktx

3. 새벽대를 잡기.

 

새벽 3시 이후 풀리는 취소된 표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예약만 하고 미결제된 표들이 이 시간 이후 대거 풀린다. 새벽 시간대로 다음 날 일정에 차질이 있겠지만, 고향 가야하는 간절함으로 버텨보자.

 

4. 예약대기.

 

새벽 시간 예매에 실패했다면, ‘예약대기를 걸면 선착순으로 취소 표를 배정받을 수 있다. 카카오톡 알림을 받았다면, 당일 자정 전까지 반드시 결제해야 예매 완료된다.

 

5. 현장 대기

 

마지막 방법은 일단 기차역을 찾아, 제시간의 역에 도착하지 못한 승객의 출발 직전 취소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다. 가장 고전적이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도 하다.

 

특히 앞서 언급했듯이 명절에 20만석 가까운 티켓이 취소된 채 운행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장에서 구하는 것이 모바일로 구하는 것보다 빠를 수 있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철도공사측과 KTX여승무원들의 싸움이 해법이 안보인다. 결국은 이 땅위에 모든 비정규직들의 문제이기 때문에 단순히 이들만의 문제라고 보기 힘든 상황으로까지 왔다. 한쪽이 무을 꿇는순간 비정규직문제의 해법에 하나의 선례가 남기때문에 이번 싸움은 더더욱 관심을 끌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들 싸움을 보는 우리는 감정적으로 이들을 동조 혹은 비판할 수 없기에 이들이 제시하는 근거와 숫자자료에 일단 마음을 어느 한쪽으로 기울게 된다.

 

철도공사에서 제시하는 "이들 여승무원들의 봉급이 우리 6급 1호봉보다 4만원 많다"라는 주장을 듣다보면 왜 여승무원들이 파업할까라는 생각을 하다가 여승무원들이 "틀렸다. 수당은 왜 포함 안시키고 말하냐"라고 하면 정신이 없어진다. (이에 대해 한 네티즌은 정규직 6급 1호봉이 200여만원이 넘는다고 주장했다)

 

이런상황에서 철도공사에서 산출하기 어려운 내용을 산출해서 놀랐다. 현 KTX여승무원들 모두 자르고 운행해도 승객들에게 돌아가는 실제 할인율은 200원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어떻게 산출했는지 몰라도 듣는 이에게는 "200원 할인폭의 가치밖에 없는 여승무원"으로 들을 수도 있겠다. 그렇다면 그들을 왜 채용을 했을까. 공사측은 국민들의 정서때문에라고 한다. 기업 운영을 해보지 않아서 그랬던 것일까? 국민들의 정서를 그렇게 잘 아는 철도공사가 엉뚱한데 유전개발같은데 투자를 하는 것일까? 국민들은 어디까지나 본분에 의해 충실히 철도관련 업무에 치중해 안전한 운행만을 바란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일까?

 

여승무원의 가치에 대해 있으나마나한 태도로 일관하는 것도 우습다. 정작 KTX사고나고 내부의 사람들이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봐야할까? 지난해 이맘때 지하철 화재사고후에 내부에 안전요원을 둔다고 말했던 것이 기억이 났다. 그런데 최근에 본적이 없는 듯 하다. 또 무감각이고 사고가 나지 않자 대충 넘어가자는 것이다..

 

확대하면 비정규직의 문제이고, 이 사회의 문제이지만. 계획도 없이 인력운용하고 문제 생기자 '있으나마나'한 존재로 비하해버리는 철도공사를 (궁극적으로는 정부) 우리는 어디까지 믿어야 하고, 이들이 운행하는 KTX가 정말 안전한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