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얼마를 벌어야 평균일까. 국가통계를 보면 지난 2022년 4분기 기준으로 483만 3575원을 벌어야 한다. 이는 가구당 기준이다. 즉 1인 가구든 6인가구든 맞벌이든, 같이 사는 자녀들의 벌이든 가구당 기준이다. 사실 이렇게 따지면 굉장히 냉정해 진다. 맞벌이 기준으로 483만원이라면 누가 얼마나 번다는 전제를 빼면, 240만원씩 버는 부부인 셈이다. 또 1인 가구라면 굉장히 고수입자인 셈이다.
가구당 평균으로.
물론 여기서 근로자가구와 근로자외가구를 나눠야 한다. 근로자외가구는 무직자나 자영업자를 말한다. 근로자가구만 따진다면 지난해 4분기 평균 소득은 546만원이다. 무려 60만원이 확 올라간다. 맞벌이로 한다면 270만이라 볼 수 있다. 근로자외가구는 무직자 때문인지, 평균이 382만원이다.
여기서 볼 것은 가구원 수다. 1인 가구가 아닌 평균 2.33명으로 본다. 즉 이를 다시 본다면 앞서 언급했듯이 맞벌이로 생각할 수 있고, 개인으로 나눈다면 평균 270만원이란 셈이다. (1인 가구 근로자인 경우 546만원인데, 세전이라 하더라도 꽤 높은 수익이다.
근로자 1인당 평균으로.
그런데 여기에 의아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직장인 평균 월급 때문이다. 지난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은 386만 원으로 2021년보다 18만 원, 4.9% 늘어났다. 뭔가 가구당 수익이 확 늘어야 하지 않을까. 아니면 진짜 200도 못 버는 사람이 많은 것일까.
대기업과 중소기업 차이를 보자. 2021년 기준 대기업 직원의 평균 월급은 563만원이다. 근로자가구 평근 소득을 상회한다. 혼자서 벌더라도 말이다. 그러나 중소기업 평균 월급은 266만원이다. 전체 가구 평균을 훨씬 하회한다.
평균이라는 것이 늘 그렇다. 10명이 일하는 회사에서 1명이 10억을 받고, 9명이 100만원씩 받으면 평균은 10억 900백만원을 가지고 나눠야 한다. 평균 월급이 1억이 넘는다. 말도 안되는 소리다.
그래서 중간값이 존재한다.
2021년 기준으로 전체 임금근로자 소득의 중간값은 250만원이다. 85만~150만이 9.7%이고, 150만~250만원 미만의 근로자가 26.3%로 가장 많다. 250만~350만이 17.8%다. 즉 85만에서 350만 사이의 근로자가 54% 정도 된다. 절반을 넘는다.
정리하면.
가구당 평균 소득은 483만원
근로자 가구당 평균 소득은 546만원
근로자외 가구당 평균 소득은 382만원
근로자 1인당 월급 평균은 386만원
대기업 1인당 월급 평균은 563만원
중소기업 1인당 월급 평균은 266만원
근로자 월급 중간값은 250만원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콩으로 쓰여온 ‘쥐눈이콩’, 효능과 먹는 방법. (0) | 2023.04.09 |
---|---|
청약저축 100회차 1000만원 이후 납입지연 및 세금우대 그리고 청약 최소금액은? (0) | 2023.03.27 |
캐롯퍼마일자동차보험, 4개월 사용한 후기. (0) | 2023.03.21 |
알페신(alpecin) 카페인 샴푸 3개월 사용 후기…얇은 머리카락‧탈모 방지 (0) | 2023.03.14 |
위궤양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무증상 위궤양’ (0) | 2023.03.03 |
식당 소주 가격 6천원?…과거 소주 도수 변화와 소주 가격 변화는? (0) | 2023.02.27 |
카베진, 효능과 복용법…가격, 직구 vs 국내 판매가 (0) | 2023.02.26 |
‘불법 사이트’ 누누티비 (noonoo) 주소, 이용자 숫자 그리고 정부 대책.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