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부의 실업급여 손보기, “놀고 먹는 사람들” vs ”사회안전망 붕괴“

윤석열 정부가 실업급여에 손을 대는 것을 두고 말들이 많다. 이것도 세금으로 집행되는 행정이라, 실업급여를 안 받거나 (혹은 못 받은 이들은) 환영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자칫 불가피한 실업

www.neocross.net

 

지난해 한 리서치 회사에서 전국 만 20~6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출근 시간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한 적이 있다. 질문의 요점은 회사에서 “9시에 출근해라라고 했을 때, 이것이 9시까지 회사에 도착하는 것인지, 9시에 업무를 시작하는 지 였다.

 

출근하는 사람들

 

실상 이는 MZ세대 직장인을 희화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고 본다. 즉 일부 MZ세대들의 행동을 전체 MZ세대 특징으로 만든 안 좋은 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는 끊임없이 제기된다.

 

지난해 여론조사를 보면 전체 응답자의 61%는 출근 시간은 회사에 도착하는 시간이라고 응답했다. , 세대별로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우 56.2%, X세대 60.2%, 밀레니얼 세대 64.3%, Z세대의 경우 60.2%가 출근 시간은 회사에 도착하는 시간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근무시간이 9~18시인 직장인의 경우, 몇 시까지 출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우, ‘10분 전 출근33.6%로 가장 많은 응답 비율을 나타냈으며, ‘30분 전 출근’ 15.1%, ‘20분 전 출근’ 14.8%,’5분 전 출근’ 14.0%, ‘9시 정시에 맞춰서 출근12.1% 순으로 나타났다.

 

 

A급 B급 인재들이 기피하는 윤석열 정부, 그래도 F급 폐급 사용은 아니지 않나.

‘김문수를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임명’. 같은 날 전해진 이 2개의 뉴스는 유시민이 윤석열 정부의 ‘급’평가를 한 말을 새삼 다시 떠올리게 했다. A급

www.neocross.net

 

 

실상 이는 MZ세대의 어떤 특성이라기보다는, 그냥 직장인들의 특성이다. 늦게 출근하고 빨리 퇴근하는 직장생활을 꿈꾸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9시까지 회사 도착이 정답이다. 그러나 직장생활을 해 본 사람들이라면 이 상황이 얼마나 비현실적인 일인지 알게 된다. 즉 위의 설문 조사는 “9시 출근이 어떤 시간이라고 생각하냐라기 보다는 “9시 출근이 어떤 시간이었으면 좋겠냐라는 희망을 묻는 것에 불과하다.

 

실상 계약서에 ‘9시 출근이라고 기재한 회사는 많지 않을 것이다. 보통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혹은 18)까지 근무하며, 12시부터 오후 1(혹은 13)까지 점심 시간을 갖는다등으로 기재됐을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근무혹은 업무라는 단어다.

 

9시까지 출근하는 것이 아니라, 9시부터 업무를 시작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보통 30분전에 미리 출근해서 업무를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시간 전에 출근하든, 10분 전에 출근하든 상관없이 9시에 업무가 시작되어야 한다.

 

MZ세대들이 “830분에 출근하면 30분 일찍 퇴근 시켜 주나요?”라든지, “830분에 출근하면 30분 근무수당 주나요?”라든지 하는 말을 들으면 저 업무에 포인트를 맞춰 설명해 주면 된다.

 

 

예를 들어 9시 정각에 직장 상사가 오늘 회의하기로 한 자료 가져와라고 했을 때 저 지금 출근해서 아직 컴퓨터도 못 켰는데요라고 말이 나온다면 안된다는 것이다. 업무는 시작됐고, 그에 맞춰 회사든 거래처든, 관계된 사람들이 움직이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나는 9시 출근할래요는 업무 준비가 다 끝낸 상황에서 9시 정각에 사무실에 들어와 저런 상사들의 요구나 거래처의 요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9시에 출근해서 준비하고 커피 한잔 한 후 30여분이나 지나 업무를 시작하면 이상하지 않을까.

 

여기서 반박이 나올 수 있다. 그럼 퇴근도 6시에 칼 같이 시켜달라라고 말이다. 그런데 여기서도 전제가 깔린다. 그날 해결할 일을 다 끝냈을 때다. 그래서 야근수당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그럼 이 상황이 다 맞냐고? 아니다. 그래서 직장생활에는 유연함이 필요하다.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제 생활로 갈거에요라는 주장은 그냥 그 회사를 다니기 싫다거나, 본인이 그 정도로 편의를 받을 정도로 회사에서 인정받는 인재일 경우다. 그게 아니라면 사회가 요구하는 유연함이 필수다.

 

9시 출근. 칼같이 그 시간에 나오겠다는 말을 계속 할 수 있을까.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