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열정페이논란에 휩싸인 강민경이 <비긴어게인 - 인터미션>에 모습을 드러냈다.

 

방송에서 다비치 멤버 강민경은 박정현의 무대를 본 후 “‘비긴어게인취지가 초심으로 돌아가서 목소리만으로 울림은 주는 것이지 않나. 선배님의 무대는 그런 게 아니었나 싶다라고 말했다.

 

100만원 뜯고, 김밥셔틀 시키고, 뺨 때린 대형 우리은행 부장 갑질 사건

은행원 남편이 ㅣ점 부장으로부터 다양한 ‘갑질’을 당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는 글이 온라인상에 올라왔다. 해당 은행은 바로 우리은행 모 지점이라는 것이 네티즌들에게 밝혀졌다. 5일 보

www.neocross.net

가수 강민경 열정페이

 

아마 여기서 울림이란 버스킹 현장에 있던 이들과 방송을 보는 이들에게 노래를 통해서 감동을 주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날 강민경의 이 대사는 공감하기 어려웠다. 앞서도 말한 열정페이논란 때문이다.

 

지난 5일 강민경이 운영하는 의류 쇼핑몰 아비에무아CS(Customer Service·고객서비스) 담당 직원 공고문이 공개됐는데, 3년 이상 온라인몰 CS 업무 경력을 비롯해 커뮤니케이션 스킬, 엑셀 활용 중급 이상 등의 다양한 조건을 내세우며 연봉은 2500만 원을 제시했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등 세금을 제한 월 실수령액은 약 187만원으로, 최저임금 수준에 불과하다.

 

 

강민경은 바로 사과문을 올렸다.

 

강민경은 신입 연봉을 잘못 기재한 CS 경력자 채용 공고를 올렸다. 경력직의 경우 반드시 직전 연봉을 기반으로 협상을 진행한다. 내용을 거듭 살피지 못한 제 불찰에 사과드린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해명 역시 비판을 받았다. 과연 강민경이 몰랐을까. 아닐 것이다. 아마 기본적인 인식이 그러할 것이면, 회사를 제대로 운영해 보지 못한 미숙함이 드러난 것이다.

 

20216월 경력직 웹디자이너 인턴직 채용 공고에 이러한 인식은 더욱 확연하게 드러난다.

 

인턴직 채용인데, 당시 아비에무아는 동종업계 경력 1~3, 해당 직무 근무경험, 포토샵 및 HTML, CSSS, 일러스트레이터 등 운영 능력, 포트폴리오 제출 등 지원 자격을 제시했다. 지원자는 서류전형과 1·2차 면접 전형을 통과하면 채용될 수 있었다. 채용된 직원은 3개월 인턴으로 근무하게 되며, 그 이후 정규직 전환이 가능하다고 적혀 있다.

 

해당 직원의 업무는 웹디자인, 영상 제작, 로고 디자인, SNS 관리, 기획, 편집, 회사 소개 프레젠테이션 자료(PPT) 디자인, 마케팅 콘텐트 디자인 등을 맡는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에 동종업계 사람들은 이건 싸게 노예를 뽑으려 하는 것” “동종업계 1~3년차를 뽑아서 10년차 일을 시키려는건가라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내 이름과 인생을 걸고 이승기를….”…권진영 대표의 추락과 이선희.

이승기가 18년 동안 후크 엔터테인먼트에서 소속돼 총 137곡을 발표했는데도 불구하고 음원 정산을 한 푼도 받지 못했다는 사실에 업계는 물론 대중들이 경악했다. 이 음원 수익을 올해 9월까지

www.neocross.net

 

여기서 하나 더. 근무 환경 역시 논란이다.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크레딧잡에 따르면 아비에무아의 직원은 총 14. 그런데 최근 인원증가율이 10$(12)인데 퇴사율이 52%(6)이다.

 

올해 입사자 평균 연봉은 2411마원이고, 신입 예상 연봉은 대졸 기준으로 2200만원이다. 이 정도면 일반 회사들 2006년쯤 신입이 받던 월급일 것이다.

 

물론 회사가 어렵고 수입이 적다면 그럴 수도 있다. 그런데 사람들의 초점은 강민경이란 연예인에게 향해 있고, 그가 협찬과 광고로 수억원 대의 수익을 올리고, 최근에는 2700만원 짜리 가스레인지를 자랑한 점을 지적한다. 또 개인적으로도 수억원 대의 기부까지 하면서 이미지를 만들었던 사실을 언급했다.

 

물론 강민경 개인과 강민경이 운영하는 회사를 단순하게 연결시킬 수 없다. 지금 강민경이 누리는 부는 개인이 축적한 것이고, 회사의 수익은 별로이기에 직원들에게 높은 연봉을 줄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회사가 일반인이 아닌 강민경이라는 연예인의 이름값에 의해 움직인다는 사실을 보면, 이 둘을 또 단순하게 떼어놓을 수는 없다. 그러기에 강민경이 <비긴어게인>에서 한 위로의 말은 공허한 말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월급 빼고 다 오른다”. 연초 때마다 나오는 말이다. 그리고 올해도 어김없이 이 말을 지켜졌다. 택시, 전기, 가스, 지하철, 버스, 건강보험료, 유류세 등 다 올랐다. 이런 항목들이 상황에 맞춰 이해가 될 정도인지는 개개인 판단이 다를 것이다.

 

그런데 택시보다 확실히 버스와 지하철 체감이 크다. 1200원에서 1500원으로 1250원에서 1550원이라...어질어질하다.

 

지하철 버스 택시 요금 인상

 

<택시비>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인상 전 인상 후 인상 전 인상 후
기본요금 3800원 4800원 3800원 4800원
심야할증 4600원 5300원 4600원 5300원

▶ 서울 중형택시 기준 20232월부터 시행

▶ 기본거리 1.6km당 기본요금 4800

 

 

<버스비>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인상 전 인상 후 인상 전 인상 후
간선 및 지선 버스 1200원 1500원 1300원 1600원
마을버스 900원 1200원 1000원 1300원

20234월 말부터 시행 예정

버스비 한달 60회 이용시 7200090000, 1인 매달 18000원 추가되는 셈 (상승률 25% 정도)

 

<지하철 요금>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인상 전 인상 후 인상 전 인상 후
일반 1250원 1550원 1350원 1650원

20234월 말부터 시행 예정

지하철 요금 기준 한달 60회 이용시 7500093000, 1인 매달 18000원이 추가되는 셈 (상승률 24% 정도)

 

 

<전기 요금>

 

20231분기 전기요금 인상 : 2022년 말 대비 총 13.1/kwh 인상 (11일부터 9.5% 폭으로 인상)

 

예를 들어 월 307kWh를 쓰는 4인 가구 기준 요금 부담이 4022(부가세 전력기반기금 미포함) 증가. 지난달 52000원 수준이던 전기요금 청구액이 이달부터 57000원대로 뛸 것으로 예상.

 

 

윤석열 연봉 2억 4천여만원…5급 이하 공무원 보수는 1.7% 상승. 실제 반영 봉급표는?

올해 공무원 월급 상황을 보니, 윤석열은 연봉 2억 4천여만원이 동결됐지만, 하위직 공무원들은 실질 보수가 줄었다. (하단 봉급표 참고) 자세히 보면. 올해 5급 이하 공무원의 보수가 지난해보다

www.neocross.net

 

<가스 요금>

 

20231분기 동결 2분기 인상 유력 : 1MJ(메가줄)EKD 5.4~10.4원 인상 예정, 지난해 대비 약 1.5~1.9배 인상 예상.

 

 

<그 외>

 

2023년 건강보험료율 1.49% 인상. 직장가입자 보험료율은 0.1% 인상

휘발류 유류세 인하 폭 37% 25%로 축소

최저시급 9160원에서 5%(460) 오른 9620: 40시간 근무 기준(주휴수당 포함) 월급 201580, 연봉 24126960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