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충현 감독의 신작 넷플릭스 <발레리나>는 스타일리쉬한 액션을 선보인다. 그의 연인이 전종서는 아낌없이 몸을 던졌고, 김지훈은 빌런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그런데 모든 장면이 어디선가 본 듯 하고, 뭔가 계속 겹친다. 국내외 막론하고 이 영화 저 영화 다 끌어온 듯한 느낌을 준다. ‘액션 영화가 다 그렇지 뭐’라고 생각한다면 어쩔 수 없지만, 그러기엔 너무 익숙하다.
영화는 장옥주(전종서)가 발레리나 친구 민희(박유림)의 자살 이후 그 복수를 하기 위한 과정을 그렸다. 그 배후에는 빌런 최프로(김지훈)가 있었고, 이는 단순하게 민희와 최프로만의 일이 아님을 알게 된다. 마약은 물론 살인, 폭력, 미성년자 성매매까지 연결되어 있는 조직과 대결하는 셈이다.
영화는 강렬한 액션으로 시작한다. 전종서 특유의 시크한 표정으로 진행되는 첫 액션은 시청자를 단숨에 끌어당긴다. 이후 박유림과의 워맨스와 액션을 교차되면서 액션 속도를 조절하려 한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어디서 본 듯한 장면과 액션’은 전종서의 노력을 반감시킨다.
여성 액션 영화를 논할 때 항상 언급되는 영화가 <킬 빌>이다. 이 영화 역시 이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전종서의 몸동작은 화려하지만, 그 화려함에 감탄이 나올 정도가 아닌 이유다. <킬 빌>을 비롯해 <차이나타운> <길복순> 등의 여성 액션 영화를 좋아한 이라면 “아 전종서가 저런 액션도 할 줄 아는구나” 정도로만 받아들이기 쉽다.
조금 다르게 본 이들이 있을 수 있지만 전종서가 마약 재배 시설에 들어가 수 많은 조직원들 앞에서 총을 들고 질문할 때는 영화 <마녀1>에서 정다은이 본부에서 특수요원들을 죽이기 전 장면과도 겹친다.
여기에 빌런 김지훈 역시 마찬가지다. 입이 찢긴 후 조커 같은 인상을 준 김지훈은 헤어스타일 마저 여느 빌런 영화 (혹은 빌런 만화)에서 많이 본 인상이다. 곱슬머리에 근육질 몸매로 거들먹거릴 때는 만화 <북두신권>의 캐릭터들까지 겹친다. (북두신권에서 빌런들이 더 곱슬머리에 저런 인상을 풍긴다)
그러다보니 워맨스로 액션을 조율하려는 감독의 의도는 아이러니하게 지루함을 안긴다. 액션이 치열하긴 하지만, 익숙하니 어떤 동작이 어떤 장면을 연출해 낼지도 보이니, 긴장감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 상황에서 전종서와 박유림의 워맨스를 굳이 저런 애잔한 그림으로 연출할 필요가 있었을까 싶다.
오히려 <발레리나>에서 가장 박수를 친 장면은 전종서가 김무열을 죽였을 때다. (스포일러가 담겼다). 어느 건달 영화에서 말 몇 마디 섞지 않고 칼로 찌른다는 대사가 나온다는데, 전종서는 말 한 마디 섞지 않고 김무열을 죽이고 자기 할 말만 한다. 어찌보면 <발레리나> 전종서 액션 중 가장 백미가 아닐까 싶다.
영화는 킬링 타임용으로 괜찮다. 익숙한 액션으로 편안하게 볼 수 있다는 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액션이나 뭔가 반전이 있는 내용을 기대는 하지 말자.
- 아해소리 -
'대중문화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 <역사저널 그날>이 불편했던 박민과 극우들, 폐지 후 윤석열 입맛에 맞는 역사 프로그램 만들까. (0) | 2024.02.12 |
---|---|
뮤지컬 <드라큘라>┃10년의 역사 속 ‘김준수의 성공’과 ‘작품의 미숙함’ (0) | 2024.01.11 |
'서울의 봄' 때문에 '한국 현대 이 영화 보면 된다'로 정리. (0) | 2023.12.19 |
마약 연예인이 이선균 이라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쓸 수도 없는 매체들의 트래픽 올리기 상황. (0) | 2023.10.20 |
빅뱅 승리 양다리 연애, 퇴출된 ‘민간인’을 화제로?…유혜원 소환‧여자들 신상 파헤치기만 난리. (0) | 2023.10.04 |
‘철 지난 저질 개그’ 향연의 영화 <가문의 영광 : 리턴즈>, 기자들의 평가는? (0) | 2023.09.19 |
블랙핑크(blackpink) 월드투어 콘서트 마지막 공연 솔직 후기. (0) | 2023.09.18 |
피프티 피프티, 선택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 그리고 악수(惡手)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