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수의 캐릭터 ‘사큘’로 대표되는 뮤지컬 <드라큘라>는 2014년 초연 당시 업계에 ‘파격’과 ‘애매함’의 모습을 동시에 보여줬다. 그러나 이를 배우들의 인지도와 캐릭터로 어느 정도 극복했다. 그리고 10년 뮤지컬 <드라큘랴>는 무엇을 남겼을까.
뮤지컬 <영웅> vs 영화 <영웅>,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떻게 봐야할까.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죽이기 몇 해 전부터 죽인 후 사형을 당하기까지의 삶을 그린 뮤지컬 , 그리고 이 뮤지컬을 그대로 스크린에 옮긴 영화 . 그러나 두 작품은 같은 듯 다른 형태로 관객
www.neocross.net
초연 당시 가장 관심을 끌었던 인물은 ‘드라큘라’ 역의 김준수였다. JYJ 활동이 방송에 막히고 뮤지컬계로 진입한 김준수는 막강한 팬덤을 기반으로 뮤지컬 업계 흥행 주역의 한 명으로 조금식 자리잡고 있었다. 그런 김준수였기에 <드라큘라>는 공연 오픈 전부터 ‘어느 정도 흥행 몰이를 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그리고 또다른 ‘드라큘라’ 역의 류정한도 있었다. 신춘수 대표의 사랑을 받으며 <지킬앤하이드> 성공 주역의 한 명인 류정한과 김준수의 조합은 작품 이상의 홍보 효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오픈된 초연. 류정한의 묵직한 ‘드라큘라’와 김준수의 미소년 ‘드라큘라’는 단숨에 <드라큘라>를 흥행 작품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거대한 돌기둥과 당시 뮤지컬 업계에서는 처음 시도하는 4중 턴테이블 무대는 조화롭게 어울려져 관객들에게 다양한 배경을 선보였다.
그러나 여기까지였다.
스토리와 음악으로 넘어가자 <드라큘라>는 힘이 빠지기 시작했다. 드라큘라와 미나의 사랑을 열정적이지 못했고 개연성도 떨어졌다. 반 헬싱과 드라큘라의 대결 역시 긴장감이 없었고, 반 헬싱의 사랑 역시 공감을 얻지 못했다. 짧은 시간 안에 여러 이야기를 할 수 밖에 없었지만, 그 모든 것은 고려하더라도 이야기의 흐름이 공감대를 잃었다. 여기에 뮤지컬 넘버 역시 ‘익숙하지만 익지 않은’ 상태였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프랭크 와일드 혼의 음악이기에 익숙하지만, 뚜렷하게 귀에 남는 넘버가 없었다. ‘제2의 지킬앤하이드’를 제작진이 공언했지만, 비교 자체가 불가였다.
그리고 10년 후인 2024년.
김준수, 정선아, 손준호가 무대에 선 뮤지컬 <드라큘라>는 안타깝게도 초연 당시 지적 사항에서 거의 변하지 않았다. 10년이면 대표곡으로 뭔가 익숙해져야 할 곡이 있어야 하는데 ‘들어봤을 법한 곡’ 정도로 그치고 있다. 이야기 흐름 역시 여전히 공감대를 얻기 힘들다. 그리고 여전히 따라부를 만한 노래를 없었다.
여기서 드는 생각은 ‘흥행작’인 <드라큘라>는 초연 당시 기대했던 ‘흥행 전망 작품’에서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 기반에는 김준수만 남아있는 것이 아닐까 였다. 즉 <드라큘라>는 김준수의 팬덤에 의해 키워져 대중성을 가졌지만, 여전히 김준수라는 배우의 영역 안에서만 머물러 있고, 확장성을 갖지 못한 것은 아닐까. <드라큘라> 자체는 발전 없이 ‘흥행작’이란 타이틀로만 유지하는 것이 아닐까. 아쉽다.
- 아해소리 -
'대중문화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진스 엄마’ 어도어 민희진, 연예매체에게 일방적으로 왜 때려 맞을까. (0) | 2024.04.24 |
---|---|
황현필 vs 김덕영‧조선일보의 공개토론이 시급하다…전한길은 끼지 못하는 이유 (0) | 2024.03.12 |
'파묘' 흥행을 도와주는 '건국전쟁' 감독…추가로 ‘건국전쟁’을 보지 말아야 할 이유. (0) | 2024.03.04 |
KBS <역사저널 그날>이 불편했던 박민과 극우들, 폐지 후 윤석열 입맛에 맞는 역사 프로그램 만들까. (0) | 2024.02.12 |
'서울의 봄' 때문에 '한국 현대 이 영화 보면 된다'로 정리. (0) | 2023.12.19 |
마약 연예인이 이선균 이라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쓸 수도 없는 매체들의 트래픽 올리기 상황. (0) | 2023.10.20 |
<발레리나>┃ 전종서의 액션은 볼만했지만 클리셰 뒤범범은 어쩔…김무열의 죽음은 ‘굿’ (0) | 2023.10.08 |
빅뱅 승리 양다리 연애, 퇴출된 ‘민간인’을 화제로?…유혜원 소환‧여자들 신상 파헤치기만 난리. (0)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