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우 김선호의 첫 영화 주연작으로 화제를 모은 <귀공자>의 제작비는 100억원으로 손익분기점은 180만명이다. 71일 기준으로 53만명이 이 영화를 보려고 극장을 찾았으니, 사실상 흥행 실패다. 현재 극장 개종 상황을 보더라도, <귀공자>는 이른 시간이거나 아주 늦은 시간에 배치됐다. 극장도 포기했단 이야기다.

 

 

감독‧배우들의 ‘극장’ 티켓 파워가 사라졌다.

제목을 ‘유지될 수 있을까’라고 의문형으로 달아볼까 하다가 아무리 생각해도 ‘사라졌다’가 맞는 듯 싶었다. 과거에는 ‘믿보배’(믿고 보는 배우)라는 말이 있었다. 지금도 종종 사용하긴

www.neocross.net

귀공자 김선호

 

김선호 뿐 아니라 강태주, 김강우, 고아라 등이 출연하는 <귀공자>는 우선 김선호 때문에 눈길을 끌었다. 이미 많은 이들이 알다시피 2021tvN <갯마을 차차차> 이후 전 연인이 교제하던 중 김선호가 임신 중단을 요구했다고 폭로해 논란이 일었다. 해당 인물이 기상캐스터 출신 최영아 라는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파장은 더 커졌다. 어쨌든 이런 김선호를 박훈정 감독은 끝까지 함께 가기로 했다.

 

 

그래서일까, 영화 <귀공자>의 대상은 분명 강태주인데, 영화는 김선호가 멱살 잡고 가는 모양새다. 여기에 김강우와 고아라가 좌우 조연으로 서 있고, 강태주는 사라졌다. (줄거리는 네이버 찾아보면 충실하게 나와 있으니, 제외한다)

 

김선호의 연기는 꽤 괜찮다. 감정 없이 상대를 죽이는 킬러지만, 동시에 개그적 요소와 멋짐을 동시에 내뿜는 캐릭터다. 때문에 꽤 괜찮지만, 동시에 굉장히 익숙한 캐릭터다. 유머스러운 킬러는 너무 많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김강우는 영화 <간신><상류상회>에서 보여준 모습이 자꾸 겹친다. 배우가 꼭 다양한 연기를 할 필요는 없지만, 김강우는 너무 일관성이 짙다. 그가 나온 영화의 캐릭터를 그대로 연결해 이곳저곳에 배치해도 별 이질감 없이 진행될 분위기다.

 

고아라는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 이후 7년 만에 영화를 찍었는데, 뭐랄까, 그때 그 연장선상에 있는 연기를 한다. 7년을 잇는 대단한 연기를 선보인 셈이다. 강태주는 분명 주인공이고, 분량도 많은데 그다지 인상적이지 않는다.

 

 

영화 <영웅>은 왜 관객들에게 외면 받았는가.

영화 은 왜 실패했는가. 적잖은 이들이 즉 와 붙어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말한다. 그러나 장르가 다르고, 개봉관 선호 자체가 다른 두 영화가 ‘경쟁’을 했다는 것은 잘못된 분석이다. 관

www.neocross.net

 

재미있는 것은 영화의 색감과 캐릭터의 익숙함이다. 박훈정 감독이 했으니 당연히 전작들의 색감이 살아있는 것은 당연하다. 자동차 신이나 회장이 누워있는 건물의 색감 등등은 분명 <마녀><낙원의 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김선호가 사람을 죽일 때 짓는 표정이나 행동은 <V.I.P>가 떠오른다. 여기에 김강우가 하는 표정이나 행동은 종종 <신세계>의 이중구가 떠오른다.

 

재미있는 것은 김선호가 강태주를 쫓아갈 때의 모습이다. ‘어 어디서 봤지?’라고 했는데, <터미네이터2>에서 T-1000(로버트 패트릭)이 터미네이터(아놀드 슈왈즈제네거)와 사라 코너(린다 해밀턴), 존 코너(에드워드 펄롱)를 쫓아갈 때 모습과 닮았다. 그래서 이 장면에서는 웃음이 터졌다. 꼭 저런 식으로 쫓아다녀야 했을까 싶었다.

 

어쨌든 이 영화는 한 방이 없는 김선호 중심의 평작이다. 요즘 말로 굳이 극장에서 볼 필요가 있을까하는 수준이다. 김선호 캐릭터를 조금 죽이고, 다른 캐릭터들을 좀 더 입체적으로 살린 후, 오히려 추후 반전이라고 내세운 스토리를 중반에 미리 공개했으면 어떨까 싶었다. 반전이라고 하지만, 실상 중반부터 이미 눈치 챌 정도의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국내 최대 오픈마켓업체인 G마켓이 세계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이자 국내 오픈마켓 2위 업체인 옥션을 보유하고 있는 이베이에 인수되었다는 보도가 나오지만, 이에 대해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모른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답답하기만 하다.

 

 

알리 익스프레스-테무에서 쿠팡-G마켓 상품 사는 방법.

알리 익스프레스(Ali Express)나 테무(Temu)에서 몇 번 상품을 구매하면서 ‘아차’ 싶었던 순간이 있었다. 사진과 다른 상품이 오거나 생각보다 견고하지 않은 상품들이다. 그래서 혹 쿠팡이나 G마

www.neocross.net

 

고아라 김민희

 

지난 해부터 이베이가 G마켓을 인수할 것이라는 소문이 퍼졌지만, G마켓측이나 G마켓의 최대 주주인 인터파크 측은 이같은 사실을 부인했다. 업계 관계자들 역시 이에 대해 확정적으로 대답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G마켓이 이베이로 인수될 경우 사실상 국내 오픈마켓은 모두 이베이 산하로 들어가 초대형 오픈마켓이 탄생해 독점 폐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해 9월 공정위가 이베이의 G마켓 인수를 조건부 승인할 당시 여러 소비자 단체들이 반발한 이유도 이때문이다.

 

그러나 13일 인터넷신문 이데일리는 '이베이, G마켓 주당 24불에 인수 확정'이라고 보도했고, 이를 다시 불룸버그 통신이 인용해 보도하면서 이베이의 G마켓 인수 진위 여부에 관심이 다시 쏠리고 있다. 또한 앞서 이베이 최고경영자인 존 도나휴 회장이 지난 7일 방한해 인터파크 보유 지분 34.21%에 대한 인수 협상을 타결지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실질적으로 인수가 마무리 되고 본계약만 남은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사실에 대해 G마켓이나 인터파크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잘 모르는 일"이라고 부인하고 나섰다.

 

 

이를 보면 개인적으로 볼때 두 회사 모두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G마켓이 이베이에 인수된다는 사실은 시장으로만 봐서는 독점 현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사안이지만, '민족성'을 유독 강조하는 한국민들에게는 예민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해당 기사에는 "11번가로 옮기겠다""결국 자기들 돈 벌려고 국내 소비자가 키워준 업체를 외국에 팔아넘기냐"는 등의 댓글이 올라오고 있다.

 

이런 상황으로 보자면 G마켓이나 인터파크는 좀더 분명한 입장을 내놓아야된다. 만일 인수가 되든 안되든 그로 인해 벌어지는 모든 상황의 혜택이나 책임은 고스란히 소비자와 입점해있는 판매자가 떠안기 때문이다.

 

단순하게 자기들끼리 물건 주고 받는 식이라면 지금과 같은 태도를 취한다고 해도 별 말이 없을 것이다. '모르쇠'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현재 상황은~'으로 일관하며 보도되어 나온 기사에 대해 '맞다 아니다'등 분명한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이다.

 

- 아해소리 -

PS. 사진은 G마켓 모델인 고아라와 옥션 모델이었던 김민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