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런 짓꺼리한 지 하루이틀도 아니지만 그래도 사실관계 확인이나 하면서 트래픽용 어거지 글을 써야하지 않나 싶다. 뭐 이미 조선이나 중앙 등의 행태에 대해서는 네티즌들마저 포기하는 상황이니....

 

 

연출된 '리얼리티'로 출연자·시청자 가지고 노는 케이블TV

케이블TV에서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대세다. 연출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모습을 시청자들에게 보여준다는 취지로 시작된 이러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에게 지속적인 대리만족을 주며 시

www.neocross.net

 

허준호 이하얀

 

(데일리 서프라이즈가 서영석 기자 이름의 것을 어찌 해석해야 할지)

 

내용인즉 20일 오전에 '이하얀'이란 인물이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에 올랐다. 이유는 아찔한 소개팅에 나온 한 에로배우 활동당시 이름이 이하얀이기 때문이다. 네이트온에 오른 이 기사로 네티즌들은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중앙일보는 일단 트랙픽부터 올리자는 생각엔 뜬금없는 허준호 전 부인을 끌어다가 글을 써버렸다. (기사라 하기에도 참....)...

 

자신들의 트래픽을 위해 현재 상황과 관계없는 타인의 상처를 들추고 나선 것이다. 그것도 헛다리 짚으면서 말이다.

 

'왜 갑자기'라는 제목을 달았으면 조사나 제대로 했으면 싶다.

 

 

-아해소리-

 

------------------------

 

글 올리고 나니 글이 바뀌었다....그런데 이런 이번에는 허준호 전 부인을 에로배우로....사진이라도 바꾸지....트래픽때문에 이하얀씨를 아주 가볍게 에로배우로 바꿔버리는 중앙일보 헛다리 센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손학규 경기도 전 지사를 보면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흔히들 말하듯이 상품성은 좋은데, 대중성이 약한다.정말 뭐든 잘 할 것 같은 사람인데, 특별나게 머리속에 남는 게 없다. 마치 재주많은 사람이 결국 굶어죽는다는 말을 새삼 떠오르게 만드는 존재인 듯 싶다. 민심 100일 대장정도 그런 이미지를 벗어나려 했는데, 아쉽게 대중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무엇이 문제일까.

 

 

손학규에게 이인제가 보인다.

언제가 이야기했지만 손학규의 상품성은 누구나 인정한다. 교수에 장관, 경기도지사 그리고 이전에 민주화운동 경력도 있고 말이다. 하지만 늘 지적받는 것이 손학규하면 딱 떠오르는 것이 없

www.neocross.net

 

손학규


앞에서도 말했듯이 뭐든 잘할 것 같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즉 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거리가 멀다. 학생운동을 했다고는 하나, 그 역시 현 시대에는 일종의 엘리트 이미지다. 당시 대학생이란 존재는 지금의 대학생과는 거리가 멀다. 그 이후, 교수와 정치인, 경기도지사.......대중에 융화되기 힘든 존재다....그렇다면 방법을 달리 선택했어야 했다. 그런데 뜬금없이 민심 100일 대장정이라니....앉아서 마늘까고 논밭 일하다니.....방법이 틀렸다.

그리고 오늘 탈당 선언.......손학규는 이미 탈당을 했어야 할 존재였다...한나라당의 보충제 역할만 하면서 무슨 대선을 꿈꾸겠나..맞지 않는 옷을 단지 언제가 비맞고 눈맞아서 자신의 몸에 맞게 줄어들겠지 하고 기다리는 것 자체가 무리였다.

 



 탈당선언을 하면서 흘린 눈물이 4개 방송사의 전파를 타고 전국에 뿌려졌다.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었을까?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NO다. 시기가 경선룰 논쟁이 있기 전, 신념의 판단이 필요했을 때 흘렸다면 모를까, 온갖 궁지에 몰리는 모습을 보인 현 상태에서의 눈물은 '속상해' 흘리는 눈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스스로 강자라고 생각하고 나섰는데, 주위 상황이 따라주지 않아 답답해 흘린 눈물일 뿐이다.

2002년 대선때 노무현 당시 민주당후보의 광고속 눈물은 약자의 눈물이었다. 현재의 벌어지고 있는 평가는 접어두고 따지면, 당시의 눈물은 서민의 눈물이었고 기득권 세력에 대한 한 대통령 후보의 반발을 조용히 보여주는 것이었다..대선 후보로 나서면서도부터 단일화 등을 거친 결단이 지금의 노대통령을 만들었다.

손학규의 눈물은 이 결단이 빠져있다.

구 여권세력들은 이를 반기고 있다고 한다. 손학규 전 지사가 어떤 선택을 할지는 대부분 예측 가능하지만, 단 한가지는 하지 않았으면 한다. 스스로 한나라 소장파들이 자신을 따라오지 않은 것에 대한 섭섭함을 수시로 나타냈다면, 거꾸로 그런 소장파가 아닌 권력만 따라다니는 정치인들을 오로지 세몰이와 자신의 대권에 대한 욕심때문에 포용하지 않았으면 한다.

이젠 대한민국에도 진짜 정책을 위한 당, 그리고 그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당으로 모이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싶을 뿐이다....대권을 위한 당이 아닌....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검색어에도 올라가고 오프라인 매체들이 쓰고 있으며 경찰에서 수사까지 착수했는데, 정작 포털들은 조용하다. 내가 못 찾아서 그런지 그 어디에서도 보기 어렵다. 그나마 검색어에만 존재하는 것이 다행이다.

 

왜 그럴까. 당연하다. 동영상 정책을 좀더 찐~하게 가려고 하는데, 그런 순간에 이런 일이 터졌으니 당황했으리라. 그동안 포털 관련 뉴스는 거의 내보지 않았던 포털들이 자신들 욕먹는 뉴스를 내보낼리 만무하다.

 

몇 개 동영상에 흔히 말하는 '야한' 내용이 나올법한 검색어를 넣어봤다.

 

결과는?

 

당연히 대단하다. 섹스장면이 있는 동영상은 물론 그에 준하는 노출장면이 있는 동영상도 수십개가 나온다.

 

물론 P2P 프로그램에 비해서는 약할 것이다. 하지만 그들과 사회적 파급력이 포털이 과연 같을까?

 

설마 포털들이 가진 힘을 스스로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올라가는 게시물양이 일일 수백만건이 되는 상황에서 그 직원들이 모두 모니터링할 수는 없다는 핑계도 들을 수 있다. 정말 그럴까?

 

이에 대한 답변을 듣고싶을 뿐이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친구 중에 철학적인 놈이 있다. 전화를 하면 1시간이다. 요즘은 현실에 뛰어들어 잠시 주춤하긴 하지만, 그 기세만은 여전하다. 삶 자체에 대해,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해 그놈은 늘 진지하다. 재미있는 것은 그 진지함에 무게가 없다. 농담도 없고 생각하지 않고서는 대화를 이끌고 가기 어려운데 무게가 없다. 그렇다고 친구놈이 가볍다는 것이 아니다. 느낌이 그렇다는 것이다.

 

 

프로포폴 상습 투약 유아인, 동료 배우들에 대한 예의가 없다.

유아인이 프로포폴 상습 투약으로 경찰 조사를 받았다. 이런 유아인을 두고 사람들은 또 여러 의견들을 낸다. 하정우 때와 비슷하다. 유아인이나 하정우나 배우로서 아쉬운 것이 없는 사람들이

www.neocross.net

 

영화 좋지아니한가

 

"진지한데 무게가 없다"

 

천호진, 문희경, 김혜수, 유아인, 황보라, 정유미, 이기우 등이 출연한 영화 '좋지아니한가'를 보고 나오는데 느낌이 딱 그랬다. 가족이 비일상적인 삶을 사는 것 같은데, 그게 참 일상적이다. 뭔가 진지한 분위기가 흘러가기도 하는데 허탈하다.

 

출연배우중 누군가의 말처럼 보는 내내 웃음이나 몰입이 되는 강도보다, 보고난 후에 1~2분간 '허허'하고 웃을 수 있는 여지를 강하게 남겨준다. 그 웃음이 내가 사는 현실이 영화속 현실과 괴리되어 나오는 것인지 매치되어 나오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단지 화면속 이미지는 무거운데 느낌은 가벼운, 뭔가를 말하려 하는데 동시에 말하려는 내용은 없는 그런 느낌이 영화를 본 후에 감정을 만들어내는 듯 싶었다.

 

흥행여부는 모르겠다. 지금까지 어떤 영화가 흥행할지 못할지 잘 맞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내 사고방식이 꼭 대중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독립영향 지향적인 주관적 틀에 사는 것도 아니다. 단지 다른 사람들처럼 내가 보는 시각이 다소 다를 뿐이다.

 

영화 '좋지아니한가'에서 천호진이 한 말처럼 '덤덤하게'...그렇게 영화를 보는 것이 좋을 듯 싶다.

 

-아해소리-

 

ps....크라잉넛이 부른 음악은 참 좋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이효리, 아이비, 서인영, 채은정까지.....모두 섹시함을 무기로 가요계에 컴백한다. 물론 이들은 하나같이 섹시함보다는 음악성을 강조한다. 하지만 보는 이들에게 이들이 말하는 음악성은 없어진지 오래다. 노출과 자극적인 몸짓으로 자신의 모든 것을 보여주려는 이들에게 '음악성'이라는 것이 존재하는지 조차 의문이다. (..위에서 아이비는 예외로 해야 할 듯 싶다. 대충 듣는 나에게도 노래 잘한다는 생각이 들게 했으니)

 

 

‘노출’로 뜬 클라라의 ‘성적 수치심’ 주장, 벼랑 끝 대결 펼치나

클라라가 성적 수치심을 이야기했다. 이 부분을 이야기 하기 전에 먼저 언급할 것이 있다. 이 블로그를 전반적으로 훑어본 이들은 알겠지만, 특정 연예인에 대해 비판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정체

www.neocross.net

 

이효리 아이비 서인영

 

이들 뿐만 아니다. TV를 필두로 해서 모든 매체는 물론 시각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주위환경이 모두 '섹시'로 변해가고 있다.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이게 적용된 것이 오래전이다. (물론 아직도 이 단어의 주요 표적은 여성이다)

 

'섹시하다'는 표현은 두 가지다. 하나는 노출도가 높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풍겨져 나오는 느낌이 그것이다. 사실 후자의 경우에는 '매력'(charm)이라고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가 보는 섹시는 99% 전자다. 가슴과 가린 상의와 짧다못해 속이 다 보일 듯한 하의를 입었다는 자체로 '섹시'하다고 이야기를 들으니 말이다. 배우들은 일반인들도 이렇게 입는 상황에서 도저히 같이 못 놀겠다는 듯이 이제는 속옷 비추는 의상은 물론, 주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보여주겠다는 의지를 강렬하게 보여주고 있다.

 

여름철 해변에 가면 비키니 여인들로 넘치는데 뭐 그 정도 가지고 뭐라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상황과 전파력을 생각하면 단순 연결은 어렵다. 목욕탕에서 홀딱 벗고 씻는 남자끼리라도 회의실에서 홀딱 벗고 회의하라고 하면 과연 할 수 있을까?

 

 

다시 돌아와서...

 

최근 위에 거론된 가수들 뿐만 아니라 일반 연예인들도 노출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노출도를 높힌다고 섹시한 것도 아니고, 반드시 이를 통해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

 

한 가요 관계자는 아무리 노출을 해도 안 뜨는 연예인이 있다고 한다. 모두 벗고 난리 치니, 그 다음을 본다는 것이다. 연기자는 연기를 가수는 노래를 본다는 말이다. 어차피 노출 상태가 출발선이라면 그 다음은 빨리 뛰는 놈에게 시선가는 것이 당연하지 않는가. 아니면 아예 출발선 자체를 따로 서서 성공하던지 말이다. 어쩌면 일부 여가수들이 '섹시의 늪'에서 허우적대는동안 진짜배기 가수들이 더 앞을 보고 준비하는지도 모를 것이다.

 

노래가 좋아서 가수를 한다고 말하는 그들이 '벗는 섹시'가 먹히지 않는 30~40살이 되어서 과연 그 '노래'라는 것을 진짜 좋아할지 의문이다. 뭐 그 전에 잘(?) 결혼해 '섹시'를 안 내세워도 잘 먹고살 수 있다면 좋기 하겠지만 말이다.

 

-아해소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