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태지가 이지아의 소 취소에 '부동의서'를 제출했다. 끝까지 가보자는 것이다. 이제는 제대로 법정 소송을 벌이는 것이다.

두 스타가 맞붙을 '위자료 및 재산분할 청구소송'은 대개 1년에서 길게는 2년까지 걸리는 사건이다. 일반인들이 그러할진데, 이들은 이견이 많아 더 지루하게 길어질 것 같다.

이미 알려졌듯 서태지와 이지아가 말하는 '결혼과 이혼'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97년 결혼에는 동의했지만, 실질적인 이혼 시점은 크게 달랐다. 서태지는 2000년 헤어지는 수순을 밟아 2006년 서류정리를 마무리 지었다고 했다. 하지만 이지아는 2006년 이혼을 신청했고 그 효력이 2009년 발효돼 재산 분할 및 위자료 청구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지아의 주장을 보면 서류정리 후에도 뭔가 끈이 닿아있었다는 뉘앙스를 풍긴다. 서태지의 주장이 맞다면 은퇴 시기에 함께 살았고 컴백을 하면서 결혼생활이 종료돼 이지아가 재산형성에 기여했다는 주장을 하기 힘들다. 하지만 이지아는 "음반 비주얼 작업에도 관여해 왔다"고 주장하며 재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

서태지의 이번 결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쏟아진다. 서태지가 너무하다는 의견도 있고, 이지아가 큰 실수를 했다는 의견도 있다. 생각해보면 이지아가 서태지 성격을 몇년간 살면서도 잘 파악하지 못했을 수도 있고, 역으로 보면 이같은 서태지의 성격 때문에 이지아가 못 살수도 있을 것이다.

실상 서태지로서는 자신의 '신비주의'를 벗겨낸 이지아에 대한 원망이 있을 것이다. 어쩌면 무결점으로 살아온, 신비주의로 살아온 서태지의 최대 오점을 이지아가 남긴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지아의 소송 취소를 순순히 받아들인다는 것은 서태지로서는 또한번의 자존심 상하는 일이다. 시작도 이지아가 마지막도 이지아가 한 것으로 마치 서태지는 놀잇감만 된 꼴로 대중들에게 비춰진 셈이다.

그래서 서태지가 독해진 것 같다. 법정 소송으로 인해 자신이 피해를 입는 것까지도 감수했으니 말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SF영화의 세계적 거장 스티븐 스필버그와 영화 ‘클로버필드’, 미국 인기드라마 ‘로스트’ 등을 연출한 J.J.에이브럼스의 만남으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영화 ‘슈퍼에이트’(SUPER8)가 20분짜리 영상이 공개됐다.

'슈퍼에이트'의 영상 공개가 기대되는 이유는 하나다. 슈퍼 감독들이 만나서 제작하고 있는데, 정작 그 실체는 제대로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포스터 한 장과 짤막한 티저 영상만이 공개됐다.

‘슈퍼에이트’는 1979년 미국 제 51구역(외계인을 연구하는 곳으로 알려진 군사 기밀 기지)의 외계인 몬스터 관련 영화를 캠코더로 촬영하던 아이들이 실제로 외계인과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이번에 공개된 장면은 미확인 물체의 등장 정도다. 영화 제작을 꿈꾸는 아이들은 어설프지만 열정적으로 영화를 찍어내려 기차역에서 분주하게 움직인다. 지나가는 기차를 배경으로 영화를 찍으려던 아이들은 기차와 자동차가 부딪치는 엄청난 사고를 겪는다. 이후 마을 주유소가 의문의 물체에 공격을 당한다. ‘슈퍼에이트’ 스페셜 영상은 이 정도의 짧은 줄거리 안에 SF와 호러, 그리고 스펙터클을 모두 담아냈다. 특히 기차 사고 장면은 여느 블록버스터 영화를 능가했다.

‘슈퍼에이트’는 J.J.에이브럼스가 각본 연출 제작을 맡고 스티븐 스필버그가 제작에 참여했다. 특히 다코타 패닝의 여동생 엘르 패닝이 출연해 뛰어난 연기력을 선보인다.

6월 전세계 개봉이라고 하는데, 기대된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쿵푸팬더2'가 공개됐다. 영화를 국내로 들여온 이들은 전 세계 개봉 전 리뷰를 22일로 엠바고를 제시했다. 그런데 영화를 보고 나서 생각난 것은 굳이 22일까지 가지 않아도 될 듯 싶었다. 예고편과 온라인에 오픈된 시놉시스, 주요 목소리 연기자 등을 총합하면 어떤 그림이 스크린에 펼쳐질지만 모르지, 사실상 내용은 대략 흐름이 잡힌다. 영상을 글로 직접 표현하기에는 사실 어려운 상황에서, 영화 홍보사의 말하는 '22일 엠바고 리뷰'는 사실상 무의미하다.

영화의 중심 이야기는 주인공 '포'의 출생 비밀이다. 많은 동화책과 만화책, 애니메이션을 섭렵한 이들이라면 1편에서 '포'의 아빠가 팬더가 아니라 거위라는 점에서 "아 누가 버린 팬더 (혹은 어쩔 수 없이 버려야했던 팬더)를 거위가 데려다 키우는구나"라고 이미 눈치는 챘을 것이다. 그러나 2편에서는 이를 디테일하게 들어간다. 그 과정에서 귀여운 '베이비 포'의 모습도 공개된다.

1편이 '포'가 용의 전사가 되어 '타이렁'을 제거했지만, 2편에서는 악랄한 악당 '셴 선생'을 상대로 한다. '셴 선생'은 강력한 무기를 앞세우고 위대한 쿵푸 사부를 하나씩 제거한 후 중국을 점령하려 한다. 물론 공작새가 캐릭터로 나오기에, 사실상 '타이렁'보다는 그 무게감은 덜하다. 그러나 교활한 머리와 잔인한 태도는 '타이렁'을 능가한다. 게다가 그는 '포'의 출생의 비밀과 관련이 있다.

3D 효과는 사실상 호불호가 갈릴 듯 싶다. 분명 3D 효과는 있었지만, 관객들이 대부분이 3D에 익숙해 있기에 '쿵푸팬더2'라고 해서 새로울 것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규모 전투 장면은 확실히 볼만 하다.

동서양 톱스타들의 목소리 연기도 귀를 휘어잡는다. 잭블랙, 더스틴 호프만, 안젤리나 졸리, 성룡, 데이비드 크로스에 악당 '셴 선생'을 연기한 게리 올드만과 '점쟁이 할멈'을 목소리 연기한 양자경까지 별들의 잔치다. 영화를 보다가, 이들의 목소리 연기가 아닌 실제로 모아놓고 영화를 만들어보면 어떨까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또하나의 흥미꺼리. 영화는 재미교포 여인영 감독이 총괄 연출을 맡았다. 미국 메이저 스튜디오에서 한국인이, 여자가 감독을 맡은 것은 '쿵푸팬더2'가 처음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정부 이야기를 하다보면 "아직도 1년 반이나 남았다니"라며 한숨을 쉰다. 좌충우돌 방향도 방향도 없는 MB정부가 신뢰를 잃은지 오래긴하지만, 최근 일련의 사태는 정점을 찍는 것 같다.

얼마전 전주국제영화제에 갔다가 온 도시에 내걸린 'LH 본사 이전'에 대한 깃발을 봤다. 과거에 여의도 광장이나 시청 앞에서 집회가 있었을 때, 펄럭이던 깃발을 보던 것 같았다. 아니 그보다 심했다. 그런데 결국 LH 본사는 진주로 가면서 전주의 민심은 폭발했다.

LH 본사 이전은 경남과 전북의 갈등을 부추겼고, 동남권 신공항은 대구경북과 부산경남의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거기다가 이번에 과학벨트가 사실상 대전 대덕연구지로 결정되었다는 소문은 충청과 대구경북, 그리고 광주전남의 지역간 갈등을 남기게 될 상황이다.

물론 세 사업의 성격은 다르다. 동남권 신공항 사업과 LG본사 이전 사업은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한 것이다. 때문에 지역간 갈등의 예고되었다. 정부는 그 갈등 조절을 실패한 것이다. 그런데 전형적인 국책사업인 과학벨트마저 지역 갈등을 초래한 것은 MB정부의 무능력함은 대놓고 보여준 셈이다.

여권과 한나라당 소속 지자체장들마저 정부에 등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1년 반이나 남았는데, MB 정부의 레임덕은 이미 시작된 것이다. 그 누구도 아닌 스스로 자처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런 꼴을 1년 반이나 봐야한다는 것이 무섭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5.18 광주민주화항쟁은 매년 돌아오지만, 사실 모두가 기억하는 일은 아니다. 특히 시대가 변해서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현 시기에는 더더욱 그렇다. 대학생 때 왠지 광주민주화항쟁을 아는 것을 의무라고 생각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확실히 사회에 나오면서 이를 기억하기는 어렵다. 아마 지금도 광주 시민과 일부 대학생만 기억하는 역사로 생각하는 이들도 많을 것이다.

물론 아직도 진상이 밝혀지지 않았다. 심증은 있는데 물증은 없는 일도 많다. 발포 명령권자가 누군지도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 상황에서 광주민주화항쟁은 항상 무거운 주제였다. 그런데 광주민주화항쟁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한 연극이 있다. .

현재 서울 남산예술센터에서 상연 중인 연극 ‘푸르른 날에’은 광주민주화항쟁이라는 무거운 소재를 다룬다. 이 날의 사건에 휘말린 어느 남녀의 사랑과 그 후 30여 년에 걸친 인생 역정을 보여 준다.

이야기는 차밭이 보이는 암자에서 수행 중인 승려 ‘여산’(5.18 당시 오민호)이 조카이자 딸인 ‘운화’의 결혼 소식을 듣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의 기억은 30년 전 전남대를 다니던 야학선생 시절로 돌아간다. 당시 민호는 전통찻집 아르바이트생인 윤정혜와 사랑에 빠져 있었고, 정혜의 동생 기준은 민호를 친형처럼 의지하고 있다. 그러다 광주민주화항쟁이 터지고 그 소용돌이 속에서 정혜는 민호를 떠나보내고, 도청을 사수하던 민호와 기준은 운명이 갈린다.

살아남기 위해 비겁한 자가 된 민호는 고문 후유증과 함께 정신이상을 겪으며 삶을 포기한다. 결국 민호는 속세의 자신을 버리고 불가에 귀의한다. 민호와 정혜 사이에 생긴 딸 운화를 친형 진호가 거두지만, 세월이 흘러 운화의 결혼에 이르러서는 결국 끊을 수 없는 속세와의 인연에 마주하게 된다.

연극은, 기존에 5,18 광주를 다룬 많은 작품과 달리 무거운 소재를 가볍고 유쾌한 방식으로다룬다. 연출을 맡은 고선웅도 이 연극에 대해 “명랑하게 과장된 통속극”이라고 정의할 정도다.

배우들의 연기는 우스꽝스럽기까지 하다. 짧은 거리를 다리 벌려 뛰어다니는 모습이나 민호가 과장된 모습으로 시민군을 말리는 장면 그리고 3m 기다란 탁자에 마주 앉아서 찻잔과 청첩장을 내던지듯 건네는 모습은 웃음을 자아낸다.

그러면서도 연극은 ‘그날의 일’이 남긴 상처가 아직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적절하게 상기시켜낸다. 친구를 팔아 살아남았지만 그 비굴한 삶을 스스로 이기지 못하는 민호의 모습이나 딸의 결혼식에 과거의 인물들이 나오는 모습은 ‘민호의 오늘’에 과거와 현재가 공존함을 보여 준다. 서정주의 시와 송창식의 노래가 등장하는 마지막 장면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제시한다.

2011년 연극 무대 위에서의 광주민주화항쟁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