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충현 감독의 신작 넷플릭스 <발레리나>는 스타일리쉬한 액션을 선보인다. 그의 연인이 전종서는 아낌없이 몸을 던졌고, 김지훈은 빌런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그런데 모든 장면이 어디선가 본 듯 하고, 뭔가 계속 겹친다. 국내외 막론하고 이 영화 저 영화 다 끌어온 듯한 느낌을 준다. ‘액션 영화가 다 그렇지 뭐라고 생각한다면 어쩔 수 없지만, 그러기엔 너무 익숙하다.

 

영화 <오펜하이머>┃핵폭발 장면은 ‘엄지 척’, 그러나 현란한 ‘구강 액션’은 호불호.

개봉 첫날 55만명 관람. 놀랄 일이 아니다. 영화 는 한국이 사랑하는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라는 점부터 속칭 ‘먹고’ 들어간다. 이후 놀란 감독의 작품은 “뭐든 기대한다”로 자리

www.neocross.net

전종서 김지훈 박유림 발레리나

 

영화는 장옥주(전종서)가 발레리나 친구 민희(박유림)의 자살 이후 그 복수를 하기 위한 과정을 그렸다. 그 배후에는 빌런 최프로(김지훈)가 있었고, 이는 단순하게 민희와 최프로만의 일이 아님을 알게 된다. 마약은 물론 살인, 폭력, 미성년자 성매매까지 연결되어 있는 조직과 대결하는 셈이다.

 

영화는 강렬한 액션으로 시작한다. 전종서 특유의 시크한 표정으로 진행되는 첫 액션은 시청자를 단숨에 끌어당긴다. 이후 박유림과의 워맨스와 액션을 교차되면서 액션 속도를 조절하려 한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어디서 본 듯한 장면과 액션은 전종서의 노력을 반감시킨다.

 

 

여성 액션 영화를 논할 때 항상 언급되는 영화가 <킬 빌>이다. 이 영화 역시 이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전종서의 몸동작은 화려하지만, 그 화려함에 감탄이 나올 정도가 아닌 이유다. <킬 빌>을 비롯해 <차이나타운> <길복순> 등의 여성 액션 영화를 좋아한 이라면 아 전종서가 저런 액션도 할 줄 아는구나정도로만 받아들이기 쉽다.

 

조금 다르게 본 이들이 있을 수 있지만 전종서가 마약 재배 시설에 들어가 수 많은 조직원들 앞에서 총을 들고 질문할 때는 영화 <마녀1>에서 정다은이 본부에서 특수요원들을 죽이기 전 장면과도 겹친다.

 

여기에 빌런 김지훈 역시 마찬가지다. 입이 찢긴 후 조커 같은 인상을 준 김지훈은 헤어스타일 마저 여느 빌런 영화 (혹은 빌런 만화)에서 많이 본 인상이다. 곱슬머리에 근육질 몸매로 거들먹거릴 때는 만화 <북두신권>의 캐릭터들까지 겹친다. (북두신권에서 빌런들이 더 곱슬머리에 저런 인상을 풍긴다)

 

 

영화 <리멤버>┃충분히 재미있는 이 영화의 최악의 문제점은 ‘이것’.

영화든 드라마든 일제강점기 당시 일을 현대로까지 끌고 오는 일은 조심스러워야 한다. 대중이 분노하는 지점은 너무나 명확하지만, 그 때문에 어설프게 접근했다가는 오히려 ‘일본 향한 국민

www.neocross.net

 

그러다보니 워맨스로 액션을 조율하려는 감독의 의도는 아이러니하게 지루함을 안긴다. 액션이 치열하긴 하지만, 익숙하니 어떤 동작이 어떤 장면을 연출해 낼지도 보이니, 긴장감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 상황에서 전종서와 박유림의 워맨스를 굳이 저런 애잔한 그림으로 연출할 필요가 있었을까 싶다.

 

오히려 <발레리나>에서 가장 박수를 친 장면은 전종서가 김무열을 죽였을 때다. (스포일러가 담겼다). 어느 건달 영화에서 말 몇 마디 섞지 않고 칼로 찌른다는 대사가 나온다는데, 전종서는 말 한 마디 섞지 않고 김무열을 죽이고 자기 할 말만 한다. 어찌보면 <발레리나> 전종서 액션 중 가장 백미가 아닐까 싶다.

 

영화는 킬링 타임용으로 괜찮다. 익숙한 액션으로 편안하게 볼 수 있다는 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액션이나 뭔가 반전이 있는 내용을 기대는 하지 말자.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배우 김선호의 첫 영화 주연작으로 화제를 모은 <귀공자>의 제작비는 100억원으로 손익분기점은 180만명이다. 71일 기준으로 53만명이 이 영화를 보려고 극장을 찾았으니, 사실상 흥행 실패다. 현재 극장 개종 상황을 보더라도, <귀공자>는 이른 시간이거나 아주 늦은 시간에 배치됐다. 극장도 포기했단 이야기다.

 

 

감독‧배우들의 ‘극장’ 티켓 파워가 사라졌다.

제목을 ‘유지될 수 있을까’라고 의문형으로 달아볼까 하다가 아무리 생각해도 ‘사라졌다’가 맞는 듯 싶었다. 과거에는 ‘믿보배’(믿고 보는 배우)라는 말이 있었다. 지금도 종종 사용하긴

www.neocross.net

귀공자 김선호

 

김선호 뿐 아니라 강태주, 김강우, 고아라 등이 출연하는 <귀공자>는 우선 김선호 때문에 눈길을 끌었다. 이미 많은 이들이 알다시피 2021tvN <갯마을 차차차> 이후 전 연인이 교제하던 중 김선호가 임신 중단을 요구했다고 폭로해 논란이 일었다. 해당 인물이 기상캐스터 출신 최영아 라는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파장은 더 커졌다. 어쨌든 이런 김선호를 박훈정 감독은 끝까지 함께 가기로 했다.

 

 

그래서일까, 영화 <귀공자>의 대상은 분명 강태주인데, 영화는 김선호가 멱살 잡고 가는 모양새다. 여기에 김강우와 고아라가 좌우 조연으로 서 있고, 강태주는 사라졌다. (줄거리는 네이버 찾아보면 충실하게 나와 있으니, 제외한다)

 

김선호의 연기는 꽤 괜찮다. 감정 없이 상대를 죽이는 킬러지만, 동시에 개그적 요소와 멋짐을 동시에 내뿜는 캐릭터다. 때문에 꽤 괜찮지만, 동시에 굉장히 익숙한 캐릭터다. 유머스러운 킬러는 너무 많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김강우는 영화 <간신><상류상회>에서 보여준 모습이 자꾸 겹친다. 배우가 꼭 다양한 연기를 할 필요는 없지만, 김강우는 너무 일관성이 짙다. 그가 나온 영화의 캐릭터를 그대로 연결해 이곳저곳에 배치해도 별 이질감 없이 진행될 분위기다.

 

고아라는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 이후 7년 만에 영화를 찍었는데, 뭐랄까, 그때 그 연장선상에 있는 연기를 한다. 7년을 잇는 대단한 연기를 선보인 셈이다. 강태주는 분명 주인공이고, 분량도 많은데 그다지 인상적이지 않는다.

 

 

영화 <영웅>은 왜 관객들에게 외면 받았는가.

영화 은 왜 실패했는가. 적잖은 이들이 즉 와 붙어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말한다. 그러나 장르가 다르고, 개봉관 선호 자체가 다른 두 영화가 ‘경쟁’을 했다는 것은 잘못된 분석이다. 관

www.neocross.net

 

재미있는 것은 영화의 색감과 캐릭터의 익숙함이다. 박훈정 감독이 했으니 당연히 전작들의 색감이 살아있는 것은 당연하다. 자동차 신이나 회장이 누워있는 건물의 색감 등등은 분명 <마녀><낙원의 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김선호가 사람을 죽일 때 짓는 표정이나 행동은 <V.I.P>가 떠오른다. 여기에 김강우가 하는 표정이나 행동은 종종 <신세계>의 이중구가 떠오른다.

 

재미있는 것은 김선호가 강태주를 쫓아갈 때의 모습이다. ‘어 어디서 봤지?’라고 했는데, <터미네이터2>에서 T-1000(로버트 패트릭)이 터미네이터(아놀드 슈왈즈제네거)와 사라 코너(린다 해밀턴), 존 코너(에드워드 펄롱)를 쫓아갈 때 모습과 닮았다. 그래서 이 장면에서는 웃음이 터졌다. 꼭 저런 식으로 쫓아다녀야 했을까 싶었다.

 

어쨌든 이 영화는 한 방이 없는 김선호 중심의 평작이다. 요즘 말로 굳이 극장에서 볼 필요가 있을까하는 수준이다. 김선호 캐릭터를 조금 죽이고, 다른 캐릭터들을 좀 더 입체적으로 살린 후, 오히려 추후 반전이라고 내세운 스토리를 중반에 미리 공개했으면 어떨까 싶었다. 반전이라고 하지만, 실상 중반부터 이미 눈치 챌 정도의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